『오이디푸스 왕』
주제와 사상.
모든 위대한 연극과 마찬가지로 오이디푸스 왕은 몇 가지 중요한 주제를 동시에 전개한다. 그들 중 하나는 마지막 줄에 언급되어 있다.
죽음의 침상에서 자신의 삶이
고통 없는 추억이었음을 알기 전까지는
그 아무도 자신의 행운을 믿지 말라.
이 작품은 최고의 영광의 자리에서 떨어져 왕따가 된 오이디푸스의 파멸을 그려내며 인간 운명의 불확실성을 보여준다.
두 번째 중심 주제는 인간이 자신의 운명을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오이디푸스는 항상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사람이고 그는 사람들을 돕고 싶어한다. 그는 신탁이 예언한 끔찍한 운명(아버지를 죽이고 어머니와 결혼할 것이라는)을 피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모든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인간이 아무리 실수를 피하기 위해 발버둥을 쳐도 인간의 천리안에는 한계가 있다. 여기에서 자신의 운명을 지배하려는 인간과 그것을 결정하는 외세의 대비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러나 연극에서 운명(또는 신의 뜻)은 항상 지배적인 힘이지만 그것은 인간을 통해 작용한다. 즉 아기 오이디푸스를 죽이려는 이오카스테의 시도, 부모를 피하려는 오이디푸스의 욕망, 살인자를 찾으려는 오이디푸스의 의지는 결국 피할 수 없는 결과로 귀결된다. 결국 오이디푸스는 자신의 운명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지만, 여전히 자신을 완전히 신의 지배 아래 두지는 않는다.
사랑하는 친구들이여,
그 신은 아폴론이었다.
그가 내게 이 역겨운 운명을
가져왔다.
그러나 내눈을 멀게 한 손은
바로 내 손이었다!
한 가지 주목해야 할 점은 오이디푸스가 운명에 처한 이유에 대한 설명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인간은 운명에 복종해야 하며, 운명을 피하려고 하면 할수록 더욱 결박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렇다면 비논리적이거나 알 수 없는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인데 이 생각은 (신탁을 통한) 다양한 신들과의 소통과 신탁을 달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통해 강조된다. 역병은 신들이 내린 형벌로 여겨져 오이디푸스는 신들을 달래기 위해 추방되지만 신들이 왜 오이디푸스의 운명을 그렇게 결정했는지 묻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신탁의 무결성이 확립되었지만 그 목적이 불분명하다. 그러나 그리스의 신관에 따르면 모든 신이 선한 것은 아니다. 그 중에는 선한 신과 악한 신이 있으므로 신은 인간에게 악을 행할 수 있고 인간은 항상 정신을 바짝 차리고 어떤 신도 거스르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이 희곡은 또 이런 식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즉, 사건을 지시하는 대신 신들은 특정 문제에 직면했을 때 캐릭터가 어떻게 행동할지 예견하고 예언했다. 이 해석은 강조점을 어느 정도 이동시키지만, 우리가 그 힘을 무엇이라고 부르든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힘의 희생자라는 그림과 충돌하지 않는다.
소포클레스가 의식하지 못했을 수도 있는 또 다른 힌트가 있다. 즉 오이디푸스는 희생양이라는 것이다. 죄인을 찾아 처벌하면 테베 시가 구원 받을 것이다. 어떤 의미에서 오이디푸스는 시의 죄를 스스로 짊어지고 그의 처벌에는 다른 사람들의 구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이디푸스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이 된다. 여기에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에 대한 비유가 있다. 이 어린 속죄양은 그를 믿는 모든 사람의 죄를 위하여 희생된 것이 아닌가. 그러나 두 인물은 유사점보다 차이점이 더 많기 때문에 이 점을 너무 확대해서는 안 된다.
실명과 각성이라는 또 다른 중심 주제는 시적인 이미지와 다양한 명확한 대조를 통해 강조된다. 기술의 물리적 힘과 이해의 내적 비전 사이에는 반복적인 대조가 있다. 예를 들어 티레시아스는 눈이 멀었지만 오이디푸스가 볼 수 없는 진실을 볼 수 있다. 오이디푸스는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지만 자신의 삶의 수수께끼는 풀지 못한다. 대답이 주어지면 그는 벌의 행위로 자신의 눈을 스스로 멀게 한다.
이러한 주제들을 종합해 보면 『오이디푸스 왕』은 부분적으로 인간과 신의 관계, 그리고 자신의 운명을 통제하려는 인간의 시도에 대한 논평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그리스인의 견해는 우리의 견해가 아닐 수 있지만, 그리스인의 견해와 그 의미 중 많은 부분이 여전히 살아 있고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극개론』, 오스카 G. 브로케트 지음, 김윤철 옮김, 2003년, 한신문화사
'공부 > 연극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름』플롯과 구조 (0) | 2023.04.15 |
---|---|
희극 (0) | 2023.04.15 |
『오이디푸스 왕』플롯과 구조 (0) | 2023.03.31 |
디오니소스 극장 (0) | 2023.03.29 |
고대 그리스의 연극과 희곡 (0) | 2023.03.29 |